본문 바로가기

생활의상식

고슴도치딜레마

 

 

 

 

고슴도치 딜레마

 

 

 

 

 

고슴도치가 다른 누군가와 가까워지려고 하면,

자신에게 달린 가시들로 그 상대를 다치게해 누구와도 가까워 질 수 없는 상태를 인간의 마음상태에 적용시킨 심리학 용어.

 

 

 

과거에 절친한 친구, 혹은 마음 속으로 믿고있던 누군가에게 배신을 당하거나, 깊은 실망감을 느끼게 되면, 그로인해 마음의 상처(트라우마)를 받게 됨.

그래서 바로 그 "상처 받을 가능성이 있는 친밀한 관계를 거부"하면서 나타나는 것이 '고슴도치 딜레마'라고 할 수 있다.

말하자면 상처를 받기 전에 그 상황을 벗어나려는 "자기보호행동" 인것이다.

 

여기서 조금 더 깊어지면 ' 내가 실망하거나 상처입는 것 처럼 상대방이 나에 대해 실망하거나 상처 입는 것도 싫어 '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.

그래서 마음의 벽은 더욱 단단해지고 만다.

이 단계에 있는 사람들은 일상적인 대화도 가급적 회피한다.

또한 누군가 마음을 여는 순간 그 모든 것이 우습게 느껴지거나 모든 사물을 냉소적으로 바라보며 사랑이나 우정 따위의 감정들을 더 이상 믿지 않게 된다.

 

 

 


 

 

 

두 마리의 고슴도치가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, 그들 각자는 '외로움'이라는 고통을 느낄 것이지만 반면 서로에게 다가가면 서로의 뾰족한 가시로 '상대를 다치게 할 것' 이라는 것이 바로 "고슴도치 딜레마"다

이것은 사람 사이에서의 관계와 비슷하다.

만약 두 사람이 서로를 믿고 보살피기 위해 다가가서, 그들 중 한사람에게 무언가 나쁜 일이 생기면 상대방 역시 상처를 받게 되며, 둘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누군가의 부정직함은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.

 

 

 

쇼펜 하우어의 '수필과 이삭줍기'에서는 다수의 고슴도치가 따뜻하게 있기 위해 모여서 떼를 이루면,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온기를 느낄 수 있을 만큼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애쓴다고 묘사했다.

그런 고슴도치들은 편안함을 위해 따뜻함을 포기한다.

쇼펜 하우어가 끌어낸 결론은, 어떤 사람이 내면적인 온기를 충분히 갖고 있다면 그 사람은 사회집단과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생기는 자극의 교류를 회피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.

역시나 내가 반기지 않는 쇼펜 하우어의 이론은 여기까지밖에 치닫지 못했다.

 

고슴도치는 실제로 휴식을 취하는 것 때문에 그들이 가까이 다가감으로 인해 서로를 다치게 하지 않지만, 사람들은 그들의 관게 속에서 스스로 '보초를 세워'두는 경향이 있고, 긴장이 풀려있던 고슴도치가 위협을 느꼈을때 하는 방식처럼 상대방을 찌를 가능성이 있다는 것 이다.

고슴도치가 떼를 지어 살때는 자주 가까이 붙어서 잔다.

 

이러한 이야기는 지그문트 프로이트 에 의해 발견되었고, 이후에 심리학의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었음.

 

 

 

 

 

- 그여자가-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생활의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말린대추의 효능  (0) 2014.05.27
경계성 인격장애  (0) 2014.05.23
무쏘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  (0) 2014.05.22
달라이라마   (0) 2014.05.22
식물키우기  (0) 2014.05.20